![]()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지금 우리는 정신 차리고 이번 제28회 이사장 선거는 인물을 제대로 선출하여 한국문인협회의 위상을 높이는데, 노력을 하여야 한다. 이번에 제대로 선출하지 못하면 한국문단의 미래는 불투명하다. 이런데도 우리 문학 단체는 문인들 자신들이 별로 관심을 두지 않고 우습게 과거처럼 생각한다. 이것이 문제다.
왜 그런가 돌이켜 보아야 한다. 그동안 문인협회 이사장이 되어도 명함만 이사장으로서 정부와 문인들을 위해서 어떤 지혜 있는 정책 기획안을 내놓지 못한 건 사실이다. 그러면서 우월주의에 빠진 용처럼 기세만 당당하고 문인들의 위상은 갈수록 추락하는 사회 현실이 되어 버렸다.
한국문인협회가 잘 되려면 그동안 적체되어 소리 내지 못한 문학인들의 목소리들을 듣고 서로 힘을 모아 새롭게 재기의 발판이 되어야 할 때이다. 그런데 과거처럼 그냥 이사장에 당선되면 그냥 안주하며 명함만 이사장인 인물은 문인협회에서 이제는 필요가 없다.
그동안 한국문단의 원로들과 이사장들이 서로 소통하며 문학 발전을 위해서 가슴을 열고 논의하는 모습을 보지 못했다. 그것이 문제다. 모든 단체는 많은 회원들과 서로 논의되어 집행하는 것과 혼자의 생각으로 의사 결정하여 운영되는 것은 결국에는 회원들의 불만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 문단은 다시 시작한다는 의미로 올바르고 진취적인 생각이 변화와 마주치는 제28대 새로운 이사장을 선출하여 새롭게 재탄생하는 마음으로 가야 한다. 말로만 회원들을 위한다는 것은 의미가 없고 형식적인 발상이다.
그렇다면 이제는 한국문학이 세계로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그런데 아무나 세계로 나가는데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할 것인가도 문제지만 현재 숫자는 엄청나게 늘어난 문인들을 어떻게 관리하고 어떻게 위상과 가치를 만들어 나갈 것인가는 영원한 숙제이다.
이런 중요한 시기에 아무나 정치적으로 이사장을 선출해서 자리에 앉히면 지금 모습에서 무엇이 달라지는가? 오히려 불만과 불씨만 커져 한국문인협회가 위기에 처할 수도 있다. 이런 것을 바라는가? 아니라면 이번 기회는 올바른 후보를 선출하여 한국문단의 새로운 정기를 만드는데 우리 문인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글로서 작품 활동을 하는 문인들의 저작물을 관리하는 한국문예학술저작권협회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면서도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해산되어 없어져도 관심과 사랑 없이 그냥 방치해 버린 우리 문단도 문제가 크다. 그런데 누가 왜 해산시켰는지는 알고 있는가? 묻고 싶다. 그 단체를 해산시키는데 앞장선 장본인이 이사장 후보라면 누가 믿겠는가? 그래서 문제다. 나와는 아무 상관이 없는 것처럼 바라만 보는 문단의 현실이 더 우습다. 그 책임을 역사와 함께 우리 문인들이 꼭 물어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