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수사본부, 경찰 주도로 금주 내 집행 나설 듯
전문가 조언 “최정예 특공대, 장갑차·헬기 등 가용자산 총동원”
대통령실 경호처, 관저 앞 진입로에 대형버스 10여대 동원 차벽 구축
관저 담벼락 주변 ‘원형 철조망’ 대거 설치

[로컬세계 = 전상후 기자] 서울서부지법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재청구한 내란수괴 혐의 체포영장을 발부해 유효기간을 연장했다.
공수처와 경찰 국가수사본부가 참여하는 공조수사본부는 7일 오후 “공조본이 피의자 윤석열에 대해 재청구한 체포영장이 이날 오후 발부됐다”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달 31일 공수처가 서울서부지법으로부터 발부받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유효기간이 지난 6일 자정에 만료된 데 따른 것이다.
윤 대통령측의 결사적인 저항으로 이번에도 체포과정이 험난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서 청구했던 1차 체포영장의 유효기간인 7일보다는 유효기간이 대폭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된다.
공수처는 전날 영장의 유효기간은 통상 7일로 하지만, 그 이상을 신청하는 것을 경찰과 협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공수처는 지난달 30일 서부지법에 윤 대통령에 대해 내란 수괴와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로 체포영장을 청구해 다음 날 발부받았다.
공수처는 지난 6일 경찰 국수본과 협의를 통해 2차 체포영장 집행은 경찰 주도로 실행하기고 결정한 바 있다.
대통령실 경호처가 한남동 관저 앞 진입로에 대형버스 10여대를 동원, 이중삼중으로 차벽을 설치한데다, 관저 담벼락 주변에 ‘원형 철조망’을 대거 설치하는 등 관저를 요새화한 만큼 경찰도 철저하게 준비할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인적·물적 자원을 총동원한다는 계획 아래 이번 2차 영장 집행에는 경찰특동대와 경찰헬기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할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특공대 출신인 민관기 전 전국경찰직장협의회 위원장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3박 4일간의 체포작전’을 제안했다.

민 전 위원장은 “시간을 충분히 가져가며 10명, 20명씩 현행범 체포하고 (경호처의 저지선을) 무너지게 만드는 방법도 있을 것이고, 경호처 직원이 300명 정도 동원된다니, 경찰은 900명 정도를 동원한다면, 24시간 정도 지나 대열이 흩어질 가능성이 있다”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1차 저지선에서 형사들과 경호처 요원들이 대치하는 상황이 되면 경찰특공대는 아예 헬기 등으로 3차 저지선 위쪽으로 들어가는 방법도 있다”라고 자세히 설명했다.
신현영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이날 오후 YTN뉴스특보 대담에 나와 "이번 2차 체포영장 집행 때는 경찰특수단이 장갑차와 헬기 등을 동원해서라도 경호처 방어막을 제거, 제압하는 압도적인 공권력으로 국민은 안중에도 없이 국헌을 위반한 윤 대통령을 무조건 비호하는 사조직으로 전락한 경호처를 그룹을 제압해야 한다"라고 톤을 높였다.
총경 출신인 이지은 더불어민주당 마포갑 지역위원장은 전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관저 내 33군사경찰경호대, 55경비단 등 군과 경찰을 모두 복귀시킨 뒤 경찰특공대와 기동대를 투입하는 작전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위원장은 “특수차량으로 관저 진입로 일대의 차벽을 모두 제거한 뒤 특공대 장갑차 2∼3대로 나머지 차벽과 철조망을 밀고 기동대 버스가 줄줄이 들어가면 된다”며 “스크럼을 짠 경호관을 뜯어 전원 체포한 뒤 무전기·무기를 제거하고 기동대 버스에 탑승시켜 각 경찰서 유치장으로 분리 호송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한편, 공수처는 지난 3일 경찰특수단과 함께 1차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지만, 대통령실 경호처와 5시간 30분 넘게 대치한 끝에 ‘물리적 충돌’을 우려해 집행을 중지한 뒤 철수한 바 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