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련의 외국인 범죄로 인해 한국 사회 내에서 다문화주의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우리 사회 일부에서는 반다문화에 대한 인식이 나타나고 있고, 나아가 제노포비아(Xenophobia: 외국인 또는 이민족 집단에 대한 혐오나 배척) 현상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이주민 출신 국회의원 당선자인 이자스민에 대한 온라인상의 인종차별적 공격이나, 반다문화와 관련한 인터넷 카페, 단체들의 활동 등은 반다문화 현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반다문화 현상으로 인해 한국 사회에서 살고자 노력하는 외국인노동자, 국제결혼여성 등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이 상처를 입지 않을까 걱정된다. 특히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학교에서 더욱 위축되고,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데 어려움을 겪을까 우려스럽다. 그들이 잘 성장해야 한국이 지금의 서구와 같은 극심한 사회적 갈등과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은 우리 사회 전반에서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점검하는 중요한 계기라고 생각한다. 인적 개방을 통해 외국인노동자와 국제결혼여성 등을 적극 받아들인 지 10여 년이 지났다. 정부가 다문화사회로의 변화를 인정하고 적극적 정책을 추진해 온지도 5년이 넘었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는 단일민족의 자부심과 외국인에 대한 이중적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4월 여성가족부에서 발표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지수’에 잘 나타나 있다.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율이 36.2%, 국민 정체성 관련 조사에서 한국인의 혈통 중시 비율이 86.5%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사회 내의 오래된 혈통중심 문화와 단일민족 중심의 사고, 나아가 외국인에 근거 없는 차별과 편견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원하든 원치 않았든 대한민국이 다문화사회로 변해가는 것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다. 과거 ‘세계 속의 한국’을 지향하며 선택한 개방의 길로 인해 이제는 ‘한국 속에 세계’가 들어와 있는 것이다. 한국이 성숙한 다문화사회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거기에 걸맞은 자질과 역량을 갖춰야 한다. 다른 문화에 대해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다문화감수성, 다문화 공동체 속에서 함께 민주시민으로 살아갈 수 있는 다문화시민성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다문화교육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다문화교육을 이주민들에 대한 한국사회 적응교육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나 진정한 다문화교육은 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시민교육이다. 우리 국민 모두가 다문화감수성을 함양하고, 민주시민으로서 다문화시민성을 갖춘다면 다른 문화(인종, 민족, 종교 등)로 인한 사회적 갈등과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5월은 가정의 달이다. ‘가정의 행복해야 곧 나라가 행복해진다’는 공익광고의 문구가 생각난다. 다문화가족 또한 우리나라의 중요한 구성원이다. 그들이 행복해야 나라가 행복해진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가 그들을 편견 없이 공동체 구성원으로 따뜻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그러면서 왼손으로는 그들의 어려운 점을 살펴야 한다. 다문화교육을 통해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바꾸고, 한편으로 다문화가정에 필요한 교육적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 기사입력 2012.05.04 (금) 10:33, 최종수정 2012.05.04 (금) 10:31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