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사회가 따뜻한 사회를 만들고 국민의 화합 속에 잘 사는 나라를 만드는데, 앞장서야 할 정치지도자들이 오히려 갈등 속으로 부추김하고 있다. 이것이 진정 나라인가? 왜 우리 정치는 계파 싸음 속에서만 편 가르기식 정치는 구태 정치다.
![]() |
▲칼럼니스트 이강흥(시인·수필가) |
이제 시대에 맞는 민주정치를 해야지, 패거리 정치는 여전희 결국 망한다. 시대적으로도 선진화 될 수 없으며, 미래 지향적이지 못해서 결국 지지자들도 멀어진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그 틀을 못 벗어나는가?
언론과 정치권의 단합이 국민을 속인다. 그래서 국민의 알권리가 제대로 알지 못한 무지에서 선거는 시작되어 순간의 선택으로 잘못 가다 보니 투표를 하고 나서도 후회한다.
인물란이 방송 매체로만 홍보하는 모습이 국민을 조롱하는 처사다. 다수당들의 후보들은 면밀히 들여다보고 알려야 한다. 신선한 정치 신인들이 진정한 열정을 가지고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 일하려는 초심을 가지지도 못하게 미리 밟힌다.
그래서 우리 정치가 계파정치로 줄 세우기 식이다. 이것이 정치인가? 왜 한국 정치는 대통령만 지나고 나면 부끄럽게 법의 책임을 묻고 교도소로 가는가? 나아와 국민도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
국민이 선출한 대통령이 한, 두 사람도 아니고 권력 남용으로 임기를 채우지 못하거나 임기를 마치고 나면 처벌을 받고 있으니 국민 앞에 보는 모습이 과연 부끄럽지 않는가?
정치권의 제도적 문제점이다. 권력은 남용할 때 왜 가까운 측근들은 입을 닫았는가? 진정한 참모라면 입바른 소리로 쓴소리가 약이 되게 하여야 한다. 그런데 그들은 무엇을 했나 어찌 보면 모두다 책임이 있는자 들이다.
정권만 바뀌면 줄서기식 자리다툼으로 출세를 꿈꾸는데 진정한 참모라면 권력자의 나쁜 짓을 감시 해야 하는 것이다. 그래야 안정된 정치로 사회를 빛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권력은 남용해서라도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국민을 속이고 선동하고 갈등으로 이끌어 사회의 혼란을 자초하는 모습이 과연 정치지도자들인가?
국민을 편안하고 잘 살게 만들려는 노력과 열정은 어디가고 개인적 사심만 채우는가? 이러면서 무슨 정치를 한단 말인가? 정치를 하려면 자신의 모습을 보고 살아라.
세상 아무리 잘난 사람도 자신의 생각 보다는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생각하면 훨씬 값진 생각이 자신을 돋보인다.
지나치게 분위기에 젖지 마라, 정치는 현실과 미래의 삶의 버팀목이다. 희망이 없는 나라일수록 이런 걸 잊고 산다. 이제 우리 나라는 계파정치 보다는 다양한 인재 발굴로 나라를 위한 국민과 함께하는 민주정치가 하루빨리 자리매김 하기를 바란다. 칼럼니스트 이강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