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맹화찬 기자] 부산시는 ‘최첨단 국제안전도시 부산’을 위해 올해 안전관리계획을 수립했다고 23일 밝혔다.
2016년도 안전관리계획은 전년도와 달리 재난유형을 52개 분야에서 66개 분야로 세분화·고도화하고 유형별로 피해원인 파악·분석을 토대로 재난저감 목표설정과 목표설정을 위한 대책수립 및 이행실태 점검을 의무화했다. 또한 재정예산 투자계획을 연계하도록 하는 등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계획을 세워 실질적인 재난·안전대책이 강화돼 시민들의 재난안전 체감도도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시는 전망했다.
계획에 따르면 재난예방과 재난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시는 물론 구·군, 경찰 및 군, 소방안전본부 등 유관기관 간의 상호협력체계 구축 방법 등을 총망라했다.
우선 재난유형을 자연재난(11개), 사회재난(34개), 안전관리(21개) 등 3개 분야 66개 유형과 유관기관 재난대응 상호협력계획(14개) 분야 등 총 80개 분야로 세분화·고도화했다.
또한 난유형별 피해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재정예산 투자와 제도개선(매뉴얼 등) 및 교육·훈련 및 점검도 실시하게 되며 재난·안전예산에 대한 현황파악과 투자 효율성·효과성 분석도 재난유형별 분류체계에 맞춰 이뤄진다.
시는 전년도보다 152억 원이 증가한 3174억 원(시비 2299억원, 국비 87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며 안전관리체계 추진이행실태 점검강화를 통한 사전 재난예방 강화와 재난대응 유관기관 상호협조체계 구축도 강화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