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 이첩 없이 체포만?”, 논란도
윤건영(민주당) “지난 3일 체포영장 집행 때 김건희 라인, 김성훈경호차장 등 주도로 실탄 지급 지시” 제보 공개
金여사 라인 “군·경찰이 배신, 우리가 대통령 지켜야” 독려

[로컬세계 = 전상후 기자]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실패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경찰에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넘겼다.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비상계엄특별수사단(특수단)은 집행 여부를 검토 중이다.
6일 경찰청 특수단에 따르면 공수처는 이날 오전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관련 업무를 경찰에 위임한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왔다.
공문에는 “체포 집행 전문성을 고려해 경찰에 위임한다”는 내용과 함께 “향후 신속한 절차 진행을 도모하겠다. 이날 중에 유효기간 연장을 신청할테니 경찰 의견을 달라”는 내용이 담겼다.
공수처의 공문을 받은 특수단은 현재 내부 법리 검토 중이다. 다만 경찰 내부에서는 사건 이첩도 않고 체포영장 집행만 해달라는 것 아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앞서 공수처와 특수단 등으로 구성된 공조수사본부(공조본)는 지난 3일 오

전 8시4분경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진입, 체포영장 집행을 시작했다. 집행에는 공수처 30명과 특수단 120명 등 총 150여명이 투입됐다. 이 중 80여명이 관저에 진입했다.
공조본은 박종준 대통령 경호처장에게 윤 대통령 체포영장과 관저 수색영장을 제시하고 협조를 요청지만, 박 처장은 “대통령경호법상 경호구역에서의 수색을 불허한다”라는 입장을 낸 뒤 강하게 막아섰다.
경호처는 관저 내부에 주둔하는 육군 수도방위사령부(수방사) 55경비단과 함께 차량으로 저지선을 구축하고 영장 집행을 저지했다. 55경비단은 경호처의 통제를 받는다.
공수본은 1·2차 저지선을 통과했으나 실내로 들어가는 정문 앞에서 또다시 경호처와 대치를 벌이다 결국 5시간 30분여 만인 오후 1시30분쯤 영장 집행을 중지했다.
당시 경찰은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박종준 경호처장, 김성훈 경호차장에 대해 현행범으로 체포하려 했으나 지휘권자인 공수처 부장검사의 반대로 이뤄지지 못했다.
경찰은 현재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박 처장과 김성훈 경호차장, 경호본부장과 경비안전본부장을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입건했다. 경호본부장과 경비안전본부장도 추가로 입건하고 출석을 요구했다.

한편,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경호처가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결사 저지하고 있는 배경에는 김건희 라인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6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 경호처의 김건희 김용현 라인인 김성훈 경호처 차장, 이광우 경호본부장, 김신 가족부 부장이 박종준 경호처장을 패싱하고 ‘체포용 케이블 타이’와 ‘실탄 지급’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현재 제보가 쏟아지고 있다”는 윤 의원은 “이 경호본부장이 지난 3일 경호처 간부들을 모아놓고 ‘군과 경찰이 우리를 배신했다. 경호처가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며 분위기를 다잡았고, (체포를 위해 경찰 병력이 들어오면 체포하도록) ‘케이블타이 400개를 준비해라’고 말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문제는 이런 일들이 경호처장을 패싱하고 벌어졌다는 것이다”며 “당시 현장에 있던 사람들의 제보에 따르면 일부 간부들이 ‘경호관이 무슨 체포권한이 있냐’고 문제를 제기해 케이블타이는 유야무야됐다”라고 전했다.
또 “김건희 라인이 경호처 내부 분위기를 다잡고, 앞장서서 독려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어와 있다”며 “이들이 경호처장을 패싱하고 ‘실탄 지급’을 논의하다가 박종준 경호처장이 중단시켰다는 제보도 있다. 결국 실탄 지급은 하지 않았다”라고 밝혔다.
진행자가 “공수처 관계자 얘기는 경호원 일부가 개인 화기를 소지하고 있었다고 했다”라고 묻자, 윤 의원은 “개인 화기는 가족부 등 근접 경호를 담당하는 수행부 요원들은 당연히 소지하고 있으며, 체포 저지를 위한 화기로는 볼 수 없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3일 1차 체포집행 과정에서 경찰 국수본 현장 지휘부가 ‘현행범으로 경호차장 등 몇 명을 검거하자’고 했지만 공수처가 불상사를 우려해 만류했다고 하더라”며 “현장에 있던 공수처 지휘검사가 전화를 한 이후 (체포하지 말자는 쪽으로) 입장이 바뀌었다 설이 있지만 확인은 되지 않았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