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이런 집행을 보면서 우리 국민은 무슨 생각이 드는가? 너무나 실망이 크다. 그래서 국민은 실망한다. 이제 더이상 믿을 곳이 없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대한민국의 법이 이래서야 되겠는가? 우리 국민들의 의식 수준도 많이 높아지고 달라졌는데, 눈가리고 아웅 하는 식이다. 이것이 말이 되는가?
이제 우리 국민은 올바른 선거 속에서 각 정당의 기만 섞인 유혹보다는 진정한 바른 후보를 선출하는 것이 우리 국민의 숙제다. 당선만 되고 보자는 식의 후보보다는 철저한 검증으로 국회의원부터 잘 선출해야 한다. 지금까지 지켜보고도 다시 그 인물들을 선출하는 것은 국민이 엉터리 정치범죄를 돕는 꼴이다.
세상은 달라졌다. 모든 것이 변화와 개혁 속에서 움직이는데 오로지 국회의원 선거만 엉터리만 선출한다면 이 나라가 어떻게 되겠는가? 후진 정칠르 면치 못하는 것도 돌아보면 모두가 국민 책임이다. 이미 국회 의정 활동을 지켜보면서 자질이 의심스러운 후보를 다시 선출해 주는 것은 나라를 망하게 만드는 장본인이다.
정치는 국민이 달라져야 한다. 여야를 떠나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하지 않는 사람을 다시 선출해 주는 것은 범죄를 보고도 못 본체 눈감아주는 꼴이다. 이것이 진정한 민주주의인가? 묻고 싶다. 국민이 앞장서서 정치도 개혁을 해야 한다. 과감하게 퇴출시키는 정신이 이 나라를 위한 정치를 선도해주는 것이다.
국민이 정치인들이 하는 것을 보고 과감하게 지적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 무서운 줄 알고 바른 정치를 할수 밖에 없다. 그래서 자유민주주의에서는 대부분 선거가 있는데 선거에 각 당들이 위장 후보 운동을 언론을 통해서 한다. 이것이 문제다. 우리나라는 텔레비전에 나오면 스타고 안 나오면 아무리 인재라도 비인기 스타가 된다. 그걸 노리는 게 정치인들이다.
정치가 사실상 학문을 가지고 하는 것은 아니다. 그 지역에서 오래 살면서 고충과 애로사항을 알고 그 지역 발전을 위해서 노력하여 입성하는 국회의원이 진짜 그 지역구 의원이지 무슨 사회적 감투 하나로 지역구 후보로 나타나서 다 해줄 것 같은 감언이설만 남기고 떠나는 것이 정치인이다. 이걸 방치하는 그 지역 주민들이 문제다.
그래서 선거가 상당히 중요한 것인데 선거에 대한 불신만 커지고 국민들의 호응도는 낮다. 왜 그런가? 그동안 너무나 정치인들을 보면서 지쳤다. 다 그 인물이 그 인물이다. 라는 속단이 우리 정치판을 후진 정치로 만든다. 우리나라는 선거가 끝나도 시끄럽다. 결과를 보고도 지지자들의 생각이 엇갈리면서 정치불신을 선동한다. 이제 국민도 달라져야 한다. 정치는 국민 모두가 자신과 나라를 위하는 길이란 걸 알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
물론 선거 후보들의 자질도 문제다. 별로 자질도 없는데 정치나 해볼까 하는 생각으로 소신 없이 뛰어드는 주로 변호사들이 그렇다. 진짜 바른 정치를 하려면 그 지역에서 봉사활동 부터서 오랴 하면서 지역을 알고 애로사항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정치를 추천하면 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국가 면허증 하나 가지고 자신의 존재 자체를 스타처럼 생각하는 것이 정치의 허세다.
법이 아니고 농업이나 문화예술 분야나 수산업 분야나 심지어 경제 교육 각 뷴야 까지 자신들이 다 아는 것처럼 법조인들이 하려고 입으로만 떠드니 누가 그 분야 전문가인가? 자신들이 농사를 지어 보았나, 애로 사항을 제대로 알겠는가? 문학을 아는가? 아무것도 모르면서 방송 나와서 다 아는 것처럼 헛소리만 떠들다 자기 우월주의에 빠져서 착각하고 사는 것이 국회의원들이다. 이것이 문제다.
이제 우리 국민들이 선거는 확실하게 일할 수 있는 그 지역의 일꾼을 선출해야 한다. 과거처럼 거대 당들의 공천권 가지고 지역에도 살지 않고 지역도 모르는 인물을 후보로 내놓은 다면 과감하게 선출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러면 정치판도 변화의 바람이 불 수밖에 없다. 모든 것은 환경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각 당에서도 솔직하게 그 지역 인물을 찾을 수밖에 없다. 사실 국회는 당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국회의원 자신의 소신과 철학이 중요하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