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다만 당의 명칭만 바뀌었을 뿐이지 그 무엇 하나가 정치 대립으로 서로 가는 정치 꼴의 모습이 모순점이 많다. 무조건 어느 당에서 정책을 제시하여 입법을 추진하면 습관적으로 이유를 달고 문제를 제시하여 시끄럽게 가는 것은 변함이 없는 과거 정치다.
왜 그런가? 우리 정치의 모순점이다. 무조건 상대가 하는 짓이 마음에 안 든다는 정치형태다. 이것이 선진 민주정치인가? 각자 갠인의 의견도 들어보고 그 취지와 시대에 맞는지를 파악하여 서로 힘을 모으면 법도 정치도 모두가 원만하게 잘 될 수 있다.
그런데 각 당의 입장처럼 무조건 식의 반대는 바라보는 국민들에게는 항상 불안감마저 든다. 어느 나라 건 그 나라가 평화를 유지하고 국민들이 잘 살려면 정치가 안정되어야 한다. 그래야 현실정치가 국민을 편안하게 만드는 것이다.
지금 우리나라는 선진국대열에 진입되어 외국인들이 바라보는 대한민국은 아주 살기가 좋은 나라로 알고 있다. 비록 남과 북의 대치 상황에서도 꾸준히 노력하여 산업의 발달로 급속도로 발전하여 어느나라 못지않게 가는 것은 사실이다.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점은 정치인 것 같다. 국민과 더불어서 선출시켜준 의원들이 누굴 위해서 일해야 하는가? 당연히 국가와 국민을 위해서 일해야 하나, 선출이 되고나면 각 당과 자신을 위해서 일을 하고 있다. 국회의원은 입법을 위해서 있는 기관이지 소신없이 떠돌다가 그냥 지나가는 그런 곳이 아니다.
세계는 무수히 많은 변화를 가져온다. 과거에 선진국으로 잘 살았던 나라들이 정치인들의 올바른 리더쉽 부재로 개발 도상국이나 후진국으로 추락하는 나라들을 보았는가? 아시아에도 많다. 결국 그렇게 되면 국민들만 배고픈 꼴이 되어 버린다. 그래서 그 나라의 대통령을 선출할 때 국민들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한 나라의 운명과도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나라는 여기까지 왔다. 앞으로도 우리나라는 더 잘 살 수 있는 나라다. 그런데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정치가 국민들을 불안하게 만들면 잘 살 수 있는 나라에서 과연 그 나라의 운명은 어떻게 되겠는가?
지금부터라도 늦지 않았다. 여야 각 정당들이 오만을 버리고 서로 협치하는 정신으로 나아 가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 정치가 미래로 나아 갈 수 있는 것이다. 남을 비판 보다는 들어보고 왜 그럴까 생각한다면 세상에 인간의 삶 속에서 해결이 안 될 것이 별로 없다.
우리 정치가 선진 민주정치로 가려면 국민을 가장 무섭게 생각해야 한다. 그러려면 눈치보다는 자신이 공부하고 터득한 지식과 주민이 원하는 것이 대부분 무엇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그렇게 되면 여야 논쟁보다는 국가와 국민을 위한 협치의 길이 현명한 정치를 많이 만들어 낼 것이다. 우리 국민 모두는 이런 날이 빨리 오기를 기다린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