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맹화찬 기자] 부산이 기업하기 좋은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해 80개사 전입하는 동안 전출기업은 단 2개사에 불과하는 등 8년 연속 전입기업 수가 전출기업 수보다 많았다.
부산시는 5인 이상 제조업 및 관련서비스업을 대상으로 2015년 전입과 전출실태를 조사한 결과 80개 기업이 역내로 전입하고 2개 기업이 부산을 떠난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국내외 전반적인 성장둔화와 경기침체 가운데 수도권 및 역외기업들이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찾아 활발하게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작년 전입기업들의 업종을 살펴보면 정보·기술 등 관련 서비스업 46개, 제조업 34개로 2014년 제조업 64개, 서비스업 14개와 비교할 때 서비스업종의 부산 이전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전입 전 소재지는 수도권 40개, 경남 24개, 울산 3개, 충북.충남 각2개, 대구·경북 각1개, 국외 7개이며 전출은 2개사로 울산과 양산으로 각각 이전했다. 지역별로는 해운대구 40개, 강서구 26개, 남구 6개, 기장군 5개, 사하구·북구·사상구 각 1개 순이다.
전입기업들은 공장신축과 공장매입에 따른 대규모 설비투자 등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1743명의 일자리를 창출했다.
시는 2000년대 들어 추진한 산업단지 확충과 더불어 맞춤형 투자유치활동 및 인센티브 제공, 투자설명회 등을 통해 기업하기 좋은 도시 부산의 우수한 입지와 투자환경을 적극 홍보하는 등 다양한 기업유치활동이 최근 결실을 맺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수도권 이전기업이 전년 17개 대비 40개로 2배 이상 늘어났으며 이 중 35개사가 정보·기술 등 지식서비스업이고 31개가 센텀산단에 입주해 주거·교육·문화인프라가 잘 갖춰진 센텀산업단지 효과를 크게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병도 좋은기업유치과장은 “전입한 기업이 부산에 조기 정착하면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하고, “앞으로도 고용 규모가 큰 대기업과 강소기업 및 도시형 지식서비스 기업을 타깃으로 기업유치활동을 더욱 활발하게 전개할 계획이며, 특히 도심 인근지역에 실수요자 위주의 정주형 산업단지 조성으로, 기업 투자환경 개선에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