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세계 박세환 기자] 지난해 대구지역 소비자피해상담자 5명 중 1명꼴로 피해구제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관내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2015년 소비자상담 1만 4708건에 대한 분석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상담결과유형으로는 관련 법률·규정 등 정보제공을 통한 일반상담이 1만 1713건(79.6%)으로 가장 많았, 사업자와의 직접 중재를 통한 피해구제가 2958건(20.1%)이었으며 법률적인 다툼이나 중재가 불성립해 한국소비자원에 이관한 경우는 37건(0.3%)이었다.
직접 중재를 통한 피해구제율은 20.1%로 전국 소비자 상담 피해구제율(10.6%)보다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피해 구제를 위한 소비자들의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소비자 권익증진을 위한 대구시 등 관련 기관과 단체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풀이된다.
피해구제유형으로는 ‘환급형태’가 570건(19.3%)으로 가장 많았으며 ‘부당행위시정’(390건, 13.2%), ‘계약이행’(324건, 11%), ‘계약 해제·해지’(266건, 9%), ‘수리·보수’(188건, 6.4%) 등이 뒤를 이었다.
상담이유로는 ‘계약해제·해지’가 5305건(36.1%)으로 가장 많았으며, ‘품질 및 A/S’ 관련 3578건(24.3%), ‘규정 등 문의·상담’ 2566건 (17.4%), ‘계약불이행’ 1325건(9%), ‘사업자의 부당행위’ 1051건 (7.1%), ‘가격.요금·수수료’ 403건(2.7%) 등의 순이었다.
특히 가짜 백수오제품 사건의 영향으로 ‘식료품&기호품’ 상담과 판매유형 중 ‘TV홈쇼핑 구매’ 관련 상담이 각각 전년 대비 47.1%(368건), 112.9%(384건) 급증했고 정보통신서비스 및 정보통신기기는 감소세를 보였다.
대구시 서경현 경제정책과장은 “양질의 소비자상담 서비스 제공과 효과적인 피해구제를 위해 2015년 소비자 상담분석결과를 토대로 상담원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며 “민·관이 협력햅 적극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소비자피해의 사전 예방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