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7일 기자회견을 열고 동해안원자력클러스터 국책사업 선정에 대해 브리핑 하고 있다. (좌로부터 김병목 영덕군수, 김관용 도지사, 임광원 울진군수, 우병윤 경주부시장) |
-
경북도가 동해안에 원자력클러스터를 조성하는 사업을 국책사업으로 본격 추진하고 나섰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7일 기자회견을 열고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이 사실상 국책과제로 선정돼 중앙 정부의 지원을 받게 됐다”고 밝혔다.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은 2028년까지 경주·영덕·포항·울진 등 경북 동해안에 13조4500여 억원을 들여 원자력과 관련한 연구·실증, 산업생산, 안전·문화 등의 시설을 지어 원자력 복합단지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실증시설은 제2원자력연구원(9조2000여 억원), 스마트 시범원자로(7000억원), 원자력 수소 실증단지(2조4000억원) 등을 포함하고 있다.
산업생산은 원자력 수출산업단지(6205억원), 인력양성은 국제원자력 기능인력교육원(948억원)과 원자력 마이스터고(101억원), 안전·문화는 원자력병원(2150억원)과 원자력 테마파크(1000억원)를 각각 조성하는 사업이다.
도는 국내 원전 21기 중 10기(울진 6기·경주 4기)가 경북 동해안에 있고 앞으로 10기(울진 4기·경주 2기·영덕 4기)가 더 들어서지만 17개 안전·연구기관이 모두 다른 지역에 있다며 2007년부터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수립해 정부에 건의해왔다.
이명박 대통령은 4일 울진원전 신울진 1·2호기 기공식에서 스마트 시범 원자로 조기 건설과 국제원자력기능인력교육원 설립 지원 등을 약속했다. 동해안 원자력클러스터 계획은 국가의 미래 30년 앞을 내다본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도는 스마트 시범원자로 부지선정이 경북에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국제원자력 기능인력 교육원 설립의 2013년 예산 확보에도 노력할 계획이다.
원자력 마이스터고 사업의 예산확보와 영덕원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국도 36호선 확장 등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가시화에도 앞장선다. 또한 제2원자력연구원 및 원자력병원의 유치, 원자력 관련사업 육성을 위한 수출산업단지 조성, 원자력테마파크와 안전문화센터 유치 등도 검토할 계획이다.
김관용 도지사는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추진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고 관계 전문가, 중앙부처와의 연계를 통해 사안별로 적극 대처하겠다”며 “대통령이 약속한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세미나 및 워크샵을 개최하는 등 관계부처와 함께 2013년도 예산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단체들은 동해안을 핵단지화하는 것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포항·경주 환경운동연합 등은 “원자력클러스터 사업은 지구상에서 가장 위험한 핵시설을 한곳에 모으는 사업”이라며 “계획대로 추진되면 동해안 일대가 세계 최대 핵단지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로컬경북 = 이창재 기자 LCJ007@segye.com
- 기사입력 2012.05.11 (금) 13:04, 최종수정 2012.05.11 (금) 16:55
- [ⓒ 세계일보 & local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