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그런데 우리 정치판은 아직도 자신들의 기득권이나 계파정치로 정당을 장악하려고 하기 때문에 후진 정치가 될 수밖에 없다. 어느 정당이건 인재를 발굴하려는 것보다는 우선 자기 사람 위주로 정치를 하려고 하니 부정과 비리가 생기고 문제를 만드는 현실의 벽에 부디 친다. 이것이 우리 정치의 현주소다.
그러면서 선거가 시작되면 국민을 설득하는 모습이 완전한 기만술이지 진정한 정치의 소신과 철학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빈 공약 들이다. 그러다 보니 선거가 끝나면 여야가 서로 갈려서 시끄럽게 싸우고 국민들은 그때부터 불만이 나오기 시작하는 곳이 대한민국이다.
나라가 잘되려면 인재들이 대거 등원하여 이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 머리를 맞대고 서로 협치를 하여야 하는데 자신의 당과 자신의 우월주의에 빠져서 국민은 안중에도 없는 정치를 지금까지 하고 있다. 그러면서 선거 때만 되면 지역구에 얼굴 보이고 무슨 일인지는 몰라도 자신이 다했다고 하는 것이 한국 정치판이다.
그런데 우리 정치판의 구조상 선거제도가 문제점이 많다. 공천 부터 선발까지가 변화 없이 지금까지 양당체제로 그냥 그렇게 적당히 해온 것이 오늘날의 우리 정치다. 그러다 보니 새로운 인물들의 등극도 어렵고 다수당을 만들어줄 국민들의 정치 수준도 아직은 미비하다. 이럴 때 민주주의의 선진화 정치를 원한다면 각 당들이 과감하게 제도를 고쳐서라도 선거 문화를 새롭게 만들어야 한다.
과연 이해득실을 따지면서 자신의 당이 유리한 정치판으로만 가려고 하니까 선진 정치를 할수 있는 제도를 만드는 것은 엄두도 내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러니 우리 정치가 새로운 인재들이 등극하기가 그리 쉬운가? 기득권을 가진 의원들의 놀이터일 뿐 신인들이 정치판에 새롭게 가기에는 줄서기와 딸랑이 뿐이다.
과거 우리 역사 앞에 국회의원이 9선 의원들도 많다. 그렇다면 과연 그 의원들이 이 나라를 위해서 무슨 큰 일을 한 사람이 있는가? 국민들이 한번 돌이켜 보아야 한다.
이 나라 정치가 잘되고 깨끗 하려면 오히려 신인 정치인들이 무소속으로 정치를 시작하는 것도 좋은데 우리나라는 아무리 인재라도 무소속은 잘 선출을 안 하는 것이 우리나라 선거다. 왜 그럴까 생각해봐라. 무작정 정당 지지는 자신과 나라를 좀먹는 줄 모르는 유권자다. 그러다 보니 우리 정치가 후진 정치인 줄을 모른다.
이제 나라가 변하려면 모든 총선은 다선의원들의 고인 물은 버리고 신인들의 깨끗한 물로 바꾸어야 우리나라가 산다. 사실상 한국 정치는 3선 이상은 권하고 싶지 않다. 오히려 후진 정치 양성소가 된다.
그래서 이번 선거는 새로운 인물로 지역의 발전을 위해서 선출해야 한다. 지역구는 그 지역에서 오래 살면서 봉사단체에서 조건 없이 봉사 활동을 많이한 경험자가 지역 의원이 되어야 애로사항도 잘 알기에 그 지역이 발전한다. 형식적 봉사자 보다 그 지역민들과 서로 협동하며 어려움을 이겨내는 정치인이 되어야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