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 시청 별관 전경. |
지난 14일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내년도 적용 최저임금을 8350원으로 의결하면서 노동계와 경영계에서 부정적 의견을 표출하고 있다.
지역의 소상공인 실태에 따르면 타 특·광역시 대비 소상공인 업체 수 및 종사자 비율이 높아 최저임금 인상 등 외부 충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타 특·광역시 대비 제조업(대구 87.8%<특광역시 88.0%)을 제외하고 교육서비스업(5.2%p), 숙박·음식점업(3.3%p), 도소매업(2.8%p) 등 대부분의 업종에서 소상공인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권영진 시 시장은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의 노동정책으로 인해 영세 소상공인들이 대다수인 대구지역에 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소상공인 현장 애로사항을 적극 수렴해 중앙정부 건의 및 시 자체 대책 마련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달 18일 중앙정부차원에서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중심의 저소득층 일자리 지원대책을 발표했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