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 |
지금도 그것을 사용하고 웬만한 곳에서는 깨지지 않고 아주 인기 상품이다. 우리는 그릇 조금이라도 금이 가거나 귀가 깨지면 사용하지 않고 내다 버리는데 당시 타이완에 가니 우리 동네에서 버린 그릇을 쓰는 것 같아 친구에게 물었다. 왜 깨진 그릇을 쓰느냐고 하니 전통적 가치라고 하네요, 그래서 그러하다면 생각하면 그럴 수도 있게다고 하고 그들의 풍속을 존중하게 된 것이 기억이 생생하다.
지금은 우리는 소부장에 상품의 목적을 달성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은 다양한 것들이 많지만 이 시대의혁신인 주머니 전화는 제4차 산업혁명의 가장 황금알을 낳는 것이라고 해도 받아줄 것입니다.
그러므로 핸드폰의 제작 판매의 마케팅이 바로 내구성(Durability)을 자랑하므로 매출을 급상승하는 강한 용인이 되고 있다고 강하게 말하고 싶다. S사의 핸드폰의 Durability 선전은 그것을 본 사람들은 그것을 선택하게 된다. 전화가 작기에 주머지에 넣고 어쩌다보면 건물 콩크리트 바닥에 떨어 트리면 디스풀레이 판이 산산조각 나면 교환에 10만원 이상이 드는 것에 대해 모두가 경험했을 것입니다.
핸드폰을 내구성 광고로 마케팅에 획기적 기적의 판매가 발생했을 것이라고 누구든지 깨지지 않는 핸드폰 물에 빠져도 생생하여 이 시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만족시켜 주는 것이 상품의질이 두라빌리티이므로 마케팅에서 대성공한 것처럼 첨단과학시대는 Durability가 가장 핵심 포인트이며 생사의 갈림길의 승리자이라고 강하게 말할 수 있다.
듀라빌리티는 부엌에서 사용하는 그릇에 적용한 것이 70여년 전 이다 그러나 핸드폰에 적용한 것은 플라스틱에 갖쳐 다른 것을 생각 못한 것은 모두가 착각하고 아니 쉽게 부서져야 매출이 오른다는 앞서가는 생각이 듀라빌리티에 손을 보탠 것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이 세상에서 원하는 것을 다 방어할 수 있는 것인데 그것을 누가 인정해 주는가에 따라 흥망성세가 다르다고 생각 한다.
누구든지 남이 한 것은 아 그것 그런 거지 뭐 간단하게 말하지만 전혀 정보도 없는 것을 자신의 오랜생각 실험으로 그것을 만들어냈다면 그리 간단하게 말하지 못할 것이다.
사람은 원래 머리가 좋은 동물이라서 처음 생각하고 발명하기는 어려우나 남이 만든 것을 보면 금방 할 수 있는 혁신적 생각을 갖고 있는 동물 이라서 먹이사슬의 탑의 자리에 있다라고 도 말하고 싶다.
지구상의 모든 동식물은 스스로 개발은 대단히 어려우나 개발 된 것을 활용하는 것은 빠르게 활용한다고 볼 수 있다는 증거는 먹이 사슬이 탑이 된 것이 그 증거일 것이다. 원숭이도 인간이 하는 것을 쉽게 따라한다. 추으면 뜨거운 물에 들어가지는 못하나 그러나 인간이 들어가면 그들도 들어간다는 것이 바로 창조는 못하나 사용은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도 이노베션은 어럽지만 사용 테스트는 즉 듀라빌리티를 보고 더 발전된 것을 생각하고 만들어내는 것이다라고 말할 수 있다.
지구상에서 가장 영특하고 도전적이며 새로운 것을 만들어 진 것을 보고 카피하는 것은 문화와 과학의 발전을 위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원숭이가 꿀을 먹으려고 나무 가지를 꺾어 다듬어 벌집에 찔러 꿀을 먹는 방법이나, 호두 같은 것을 돌 위에 놓고 돌을 떨어트려 호두알을 먹는 것을 본 다음의 원숭이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는 것은 기억력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발하기는 어려워도 따라하는 것은 쉬운 것이므로 인간이 그동안 4 차례나 산업혁명을 일으킨 것이 그것이며 그것을 또 더 필요에 의한 것으로 만드는 기반이 되는 것이다.
Durability(내구성)이 강한 것 하나로만 이 시대 말하는 마케팅에서 성공하는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그 것은 첨단 과학이 말들어내는 것이며 그것을 보통사람은 할 수 없기에 그 가치가 최대를 이루고 있기에 가치가 있는 것이다. 이 시대 첨단 과학과 메타버스 시대 AI가 인간을 이기려고 넘실대는 오늘의 현상에는 그것에 중점을 두고 그것은 특정자만이 할 수 있는 것으로 하면 판매가 크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인간도 교육의 수준에 따라 평가하고 있는 것 처럼 전혀 아무 의견, 기술도 없는 사람을 고임금을 줄수 없는 것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이런 사람을 즉 AI를 구입하여 필요한 공장에 렌트하거나 본인이 관리하는 사업이라면 과거 머슴과 같은 형태이다.
그러므로 자식이 새롭게 만들기는 어려워도 만들어진 것을 복사하는 것은 쉬운 일이 결국 원숭이가 꿀 먹는 방법과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케 된다는 것이다. 핸드폰의 S사 제품의 [듀라빌리티]는 최첨단 마케팅이며 구매자를 사로잡는 것이 즉 판매의 성공을 일으키는 기술이며 개발인 것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 신기술을 보여주는 Durability이다.
이학박사 최무웅 건국대학교 이과대학 명예교수(Professor Emeritus, Moowoong Choi, Ph.D.) Konkuk University. 구리시 미세먼지 대응대책 위원회 위원장. 땅물빛바람연구소장.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