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이 모든 것들이 인간이 버리고 오염시킨 자연환경이 더이상 지키지 않는 인간들의 방심 속에 지구를 버리기 때문에 기후변화가 이렇게 일찍이 자극을 주고 보여준다. 이래도 세계인들이 정신을 차리지 않고 자꾸만 지나치게 지구를 오염시킨다면 그때는 우리 인간이 살 수 있을까 염려스럽다.
세계 모든 국가들이 기후 환경은 뒷전이고 우선 제품생산과 개발에만 힘써 왔지 환경을 생각하는 산업의 발전은 어느 나라 누구도 먼저 생각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지구는 서서히 오염되고 자연 환경도 자연스럽게 형태가 바뀌는 온도 차로 무수히 많이 변해가는데도 별로 신경 쓰지 않고 지금까지 지내온 결과이다.
물론 국제기구에서 기본적인 사항들의 환경을 생각하는 조건들은 있지만, 지구를 생각한다면 강력한 제재요소가 법규로 강력하게 필요하다. 그렇지 않고는 누가 기후변화를 바꿀 수 있는가? 인간의 삶 속에서 이미 남극과 북극이 얼음이 녹아내려서 바다의 수위와 온도를 바꿈으로 수산물의 서식처가 이동하는 진기명기가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런 것을 보면서 우리 인간이 방치한다면, 먼 후일 지구에는 과연 인간이 살 수 있을까도 생각하며 살아야 한다.
자꾸만 우리가 시간을 미루고 방치하면 기후변화가 주의를 주면서 인간에게 알림의 신호를 주었는데도 자꾸만 환경을 생각지 않고 지구 오염으로 간다면 기후변화는 갈수록 더 심각해져서 어느 순간에는 인간이 살기에는 기후가 엄청난 변화로 후회 할 수도 있다. 세계가 여기서도 신경 쓰지 않고 방치하면 지구에는 인간이 살기에는 힘들 수 있기에 환경과 자연은 우리에게 함께 더불어 사는 친구처럼 생각하며 함께 노력하고 살아야 한다.
이미 지구는 지쳐있다. 그런데 우리가 지키고 살아야 서로 오래가지 어느 한쪽이 배신하면 기후변화로 인간이 편안하게 살기에는 매우 불안한 환경이 주변에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에 항상 불안하다. 그렇기에 항상 마음이 불안해서 행복하게 살 수 있는가? 생가만 해도 걱정 된다.
이제 우리 지구는 다시 한번 생각하며 함께 더불어 산다는 취지로 환경을 생각하는 개발과 주변 오염은 자제와 친환경으로 가는 것을 연구하여 중요사항으로 가야 한다. 단순하게 자신의 나라만 생각한다고 해서 기후 변화는 안전한 것이 아니다. 세계 모든 국가들이 이 모든 분야에서 지키고 가야 기후 변화에 대비하는 안전을 가져올 수가 있다.
그렇다면 세계 모든 국가들이 국제환경기구의 지구 환경에 대해서 다시 한번 생각하며 우리부터 지키고 가꾸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마음이 국제적 룰을 어기고 서로 그렇게 가다 보면 기후변화는 시간을 다투어 우리 곁에 먼저 찾아올 수도 있다.
항상 모든 일은 나중에 후회한다고 쉽게 고쳐지지 않으며 특히 기후변화는 단 순간에 이뤄지는 것이 아니기에 더욱 그렇다. 수많은 시간 속에서 인간이 오염 시킨 환경의 결과이다. 이제라도 우리 인간이 정신 차리고 지구 환경에 힘쓰고 살면서 기후변화를 자제 시키는 복원의 길로 가는 자연을 생각하며 세계인이 환경을 생각하며 노력하는 인간사가 되기를 바란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