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
세계는 갈수록 정치적 이슈가 국가 간의 정치적 외교를 넘어서 경제적 영향을 많이 주는 현실이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국회가 선진 민주정치로 외교적 차원을 넘어서 선진화로 변해야 한다. 무조건 식 찬성이나 무조건 식 반대보다는 서로 실리 있게 대화와 타협으로 보다 국익에 우선하는 정치를 만들어 내야 선진 정치다.
여야가 서로 원수처럼 시끄럽게 싸운다고 해서 해결될 일은 아무 것도 없다. 모든 것은 서로 대화와 타협이 우선이다. 언론이 지켜보는데도 고성과 쌍소리로 말을 함부로 하는 것은 국민을 무시하고 있는 국회의원이나 정당은 무지의 역할일 뿐이다.
국회 회기 중에 서로 고성이 오가는 것은 국회의원 자신의 무능을 표출하는 것이다. 고성을 안질러도 다알수 있는 내용인데 왜 그런가? 잘못된 우리 국회의 타성에 젖어서 그렇다. 선배나 동료 의원들 앞에서 자신의 역할처럼 뭔가를 하는 것으로 자신의 당을 생각하는 위장 전술이다. 이것이 우리 국회다. 그 영향으로 공천권을 가지려는 의도적 발언들이 다 그렇다.
현명한 국회의원이라면 상대 당을 설득하고 배려하고 이해하면서도 생각할 수 있도록 설명을 잘 하는 것이 노련하고 현명한 의원이다. 모든 사안은 깊이 있게 노력하고 공부하여 진실을 말하면 서로 다 납득이 갈 것이다. 그런데 상대는 무슨 말인지 납득도 안되었는데 고성으로 윽박지르는 것은 상대를 협박하는 처사로 보인다.
특히 우리 국회는 언론이 지켜보고 국민과 청소년들도 지켜본다. 그런데 과연 그런 행동들이 잘하는 처사인가? 반성은 하고 있는지. 도저히 이해가 안 간다. 정치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국민의 대표라고 선출해준 지켜보는 국민들은 어떻겠는가? 자신들이 잘하면 집권당이 되고 잘못하면 정권을 빼앗기는 것은 당연한 국민의 권리인데 무슨 불만을 가지고 정치를 하는가? 자신들의 반성이 우선이다.
아직도 우리 국회가 반성하며 고쳐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국회의원들이 누리는 200가지의 특권을 폐지 시켜 모두 내려놓아야 한다. 그것이 우리 국회가 사는 길이다. 국회가 어디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아니다. 과거 악습에 젖어서 아직도 그렇게 간다면 이것은 선진정치가 아니고 지구상에서 가장 나쁘고 부정적인 삼류정치판이 될 것이다.
기회는 매번 있는 것이 아니다. 이번 22대 총선에서 변화하는 국회의 모습을 보여주려면 말로만 하지 말고 나부터 실천으로 옮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돌이켜 보면 우리나라에는 국회 5선 이상부터 9선 의원 까지가 이름도 모르는 의원들이 집단으로 놀고 먹는 곳이다. 과연 그 사람들이 그 기간동안 나라를 위해서 무슨 일을 했는가? 묻고 싶다.
이제 과거처럼 정치가 패거리와 계파는 버리고, 공천부터 공정과 혁신으로 지역을 위해서 제대로 봉사할 수 있는 인재를 국회로 보내야 나라가 선진 민주주의가 된다. 선진국에 있다고 정치가 다 선진정치는 아니다. 오히려 정치가 걸림돌이 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다시 한번 생각하고 이번 총선에서는 새롭게 혁신하여 여야 서로 나라와 국민을 위해서일하는 국회가 되었으면 한다.
칼럼니스트 이 강 흥 (시인. 수필가)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