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포영장 발부 순간 尹 체포영장 집행 작전개시

[로컬세계 = 전상후 기자] 경찰청 국수본 비상계엄특별수사단(특수단)이 김성훈(경호처장 업무대행) 대통령 경호차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11일 신청했다.
경찰 특수단에 따르면 김 차장은 지난 3일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 당시 ‘12.3 내란사태’ 공조본(공수처·경찰청국가수사본부·국방부조사본부, 공동조사본부)의 체포업무를 방해한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로 3차례 경찰 출석 요구를 받았지만, 최종 시한인 11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하지 않았다.
당초 경찰에선 경호처 내 강경 분위기를 주도하는 것으로 지목된 김 차장의 체포 영장을 발부 받은 뒤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 시도에 들어간다는 목소리가 많았다.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재집행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경찰특수단은 이날 김 차장이 경찰 출석 거부 의사를 명확히 하자, 김 차장에 대한 체포영장을 검찰에 신청했다.
경호처는 이날 오전 공지를 통해 “김 차장은 엄중한 시기에 경호처장 직무대행으로서 대통령 경호 업무와 관련해 한시도 자리를 비울 수 없음을 알려드린다”라고 밝혔다.
지난 10일 경호처를 총괄하던 박종준 경호처장이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사직서를 제출한 뒤 경찰에 자진 출석하면서 김 차장이 경호처장 직무대행을 맡고 있다.
김 차장은 김건희 여사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과도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소위 김건희 라인으로 불리며 한남동 관저 경호를 주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공조본 안팎에서는 김 차장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된 직후 윤 대통령에 대한 2차 체포영장 집행이 이뤄질 거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경호처 직원들이 경호를 이유로 윤 대통령 체포 영장을 막아설 순 있어도, 경호처 수뇌부에 대한 체포영장을 막을 근거는 없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서는 김 차장에 대한 체포영장이 발부되는 순간 윤 대통령 체포작전 알람이 울리는 것으로 본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체포영장은 늦어도 12일 오후 또는 밤 늦게 발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