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협력으로 폐광지역 맞춤형 복지모델 개발 추진
[로컬세계 = 박상진 기자] 강원랜드 사회공헌재단(재단)은 지난 16일부터 이달 말까지 총 4차례에 걸쳐 진폐재해자 250여 명을 대상으로 한 ‘진폐재해자 산림휴양사업’을 새롭게 운영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2015년부터 실시해 온 3박 4일 일본 해외휴양 프로그램이 휴식 중심으로 제한적이었다는 한계를 보완하고, 고령화와 석탄산업 쇠퇴로 축적된 사회적·정서적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재단은 올해 핵심 과제로 치유 중심 산림복지 모델 도입을 추진해 왔다.
이를 위해 재단은 한국산림복지진흥원,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교통안전공단과 협력해 신규 치유 프로그램을 공동 기획했다. 이 과정에서 진폐재해자 지원 범위가 확대됐으며, 공공기관이 함께 참여하는 공동사회공헌 체계도 강화됐다.
산림휴양 프로그램은 16일 시작된 1차수를 포함해 총 4회(2박 3일) 일정으로 진행되며, 총 254명이 참여한다. 참가자들은 경북 영주시 국립산림치유원에서 싱잉볼 명상, 숲속 리듬케어, 수치유 체험, 스트링아트 등 6종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체험하며 신체 회복과 정서 안정을 지원받는다.
재단은 진폐단체와 협력해 만족도 조사 등 효과 분석을 병행할 예정이며, 향후 폐광지역에 특화된 치유·회복형 복지모델로 발전시킬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최철규 이사장은 “재단은 기존 해외 휴양사업을 넘어 공공기관과 함께 산림 치유 중심 프로그램을 도입해 진폐재해자 지원의 폭을 넓혔다”며 “기관 간 협력을 바탕으로 폐광지역에 특화된 회복 중심 복지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확산하겠다”고 말했다.
로컬세계 / 박상진 기자 8335psj@naver.com
[저작권자ⓒ 로컬(LOCAL)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